AWS(13)
-
[실습] 1. Route53에서 도메인 구매
✅ Route 53에서 도메인 구매 ✅ 도메인 구매 잘 됐는 지 확인하기[호스팅 영역] [등록된 도메인] 위와 같이 등록된 도메인은 도메인을 구매한 시점으로부터 10~20분 뒤에 등록된다.
2024.05.13 -
Route 53이란? / DNS란? / 현업에서의 Route53 활용 여부
✅ Route 53이란?한 줄 요약 :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이다.Route 53을 조금 더 전문적인 용어로 표현하자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이다. ✅ DNS(Domain Name System)란?도메인(Domain)이 없던 시절에는 특정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서 IP 주소(ex. 12.134.122.11)를 사용했다.이 IP는 특정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IP 주소는 많은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일이 외우기가 너무 불편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낼 수는 없을까에 대해 고민하게 됐다.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 IP 주소를 문자로 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값의 형태는 ..
2024.05.13 -
비용 나가지 않게 EC2 깔끔하게 종료하기
✅ 1. EC2 인스턴스 종료하기 ✅ 2. 탄력적 IP 릴리스하기
2024.05.13 -
[보충 강의] 7-2. Spring Boot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 1. Ubuntu 환경에서 JDK 설치하는 법Spring Boot는 3.x.x 버전을 사용할 예정이고, JDK는 17버전을 사용할 예정이다. 그에 맞게 환경을 설치해보자.$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y ✅ 2. 잘 설치됐는 지 확인하기$ java -version ✅ 3. Github으로부터 Spring Boot 프로젝트 clone하기$ git clone https://github.com/JSCODE-EDU/ec2-spring-boot-sample.git$ cd ec2-spring-boot-sample ✅ 4. application.yml 파일 직접 만들기application.yml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파일은 Git으로..
2024.05.13 -
[실습] 7. Express 서버를 EC2에 배포하기
✅ 1. Ubuntu 환경에서 Node.js 설치하는 법Ubuntu 환경에서 Express 서버를 실행시키려면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Ubuntu에 우선 Node.js를 설치해보자.$ sudo su$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ca-certificates curl gnupg && /mkdir -p /etc/apt/keyrings &&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gpgkey/nodesource-repo.gpg.key | sudo gpg --dearmor -o /etc/apt/keyrings/nodesource.gpg && /NODE_MAJOR=20 && /echo "deb [signed-by=/etc..
2024.05.13 -
[실습] 6. 탄력적 IP 연결하기
✅ 탄력적 IP가 왜 필요할까?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IP를 할당받는다. 하지만 이렇게 할당받은 IP는 임시적인 IP이다. EC2 인스턴스를 잠깐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보면 IP가 바뀌어있다. EC2 인스턴스를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킬 때마다 IP가 바뀌면 굉장히 불편하다. 그래서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도 바뀌지 않는 고정 IP를 할당받아야 한다.그게 바로 탄력적 IP이다.현업에서도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탄력적 IP를 대부분 필수적으로 설정한다. ✅ 탄력적 IP 설정 방법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