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Linux(4)
-
[Linux] ubuntu 에서 포트 확인하는 방법
netstat-t : 모든 TCP 연결을 표시-n : 서비스 명 대신 포트 번호를 표시-l : 수신 소켓을 표시-p : 포트에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데몬의 이름을 표시netstat -tnlp netstat -tnlp | grep 포트번호
2024.05.14 -
[Linux] root 계정 활성화
▶ 1. root 비밀번호를 먼저 변경하여 준다.#sudo passwd root ▶ 2. sshd_config 설정정보 변경#sudo vi /etc/ssh/sshd_config:set nu 를 입력하여 보기 좋게 라인수 표시. 38 라인의 "PermitRootLogin yes" 부분의 주석을 해제하고 저장 (:wq) ▶ 3. 루트 경로에 .ssh 경로를 생성하여 준다.#sudo mkdir /root/.ssh 나와 같은 경우는 이미 디렉토리가 있어 생성되진 않았다. ▶ 4. ec2유저의 인증키를 root로 복사한다.#sudo cp /home/ec2-user/.ssh/authorized_keys /root/.ssh ▶ 5. sshd를 리스타트 한다. #sudo systemctl restart ..
2024.05.14 -
[Linux] 리눅스 사용법(2)
1. 쉘(Shell)스크립트란 ? 쉘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만든 것 DOS의 Batch 파일 작성과 비슷하지만 더 막강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음 기존의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스크립트 파일의 문법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매우 간단하며 쉽게 응용이 가능 2. 쉘 스크립트의 시작 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vi에디터나 gedit 등을 이용 스크립트 파일의 가장 위의 첫 라인은 "#! /bin/bash" 로 시작 bash로 작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bash을 기준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의미 Bourne Shell인 경우 "#! /bin/sh" 3. 쉘 스크립트의 실행 아래와 같이 echo 를 이용하여 화면에 "bash script test!!" 를 출력 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 작성 mv mv의 뜻은..
2023.07.19 -
[Linux] 리눅스 사용법(1)
1. 하드웨어 2. 커널 3. 쉘 4. 응용프로그램 운영 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운영 체제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기능을 조작하지 않습니다. 대신 쉘을 통해 운영 체제와 상호작용합니다. 직접 운영 체제를 건드리는 것은 신중해야 하며, 잘못된 조작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쉘을 통해 운영 체제와 상호작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기계어(Machine Language): 기계어는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이진 코드(0과 1)로 작성된 명령어입니다. 각 기계어 명령어는 컴퓨터의 명령 집합 아키텍처(Instruction Set Arch..
2023.07.12